책소개
<고통>은 1943∼1945년, 나치에 의해 포로수용소에 정치 유형수로 끌려갔던 남편 로베르 앙텔므를 기다리는 동안 쓰인 뒤라스의 일기문이다. 희망과 절망의 교차, 기다림 등이 ‘고통’이라는 제목 아래 진솔하고 간결한 문체로 표현되어 있다. 뒤라스는 <고통>의 서문에서 문학이 자신에게 수치스럽게 느껴질 정도로 <고통>은 자신의 생에서 “가장 중요한 일 중의 하나”라고 고백한다. 40여 년 후 이 원고를 다시 대하면서 “건드릴 생각조차 못했던 사고와 감정의 놀라운 혼돈과 마주치게 된 것이다. 이런 사고, 감정과 견주어 볼 때 문학이란 내게 수치스럽게 느껴진다”고 말하고 있다. 이 글은 프랑스에서 1985년 출간된다. 일기에 나오는 대로 뒤라스는 글에서 로베르 L이라 지칭되는 남편 로베르 앙텔므가 강제 포로수용소에서 살아 돌아온 후 그와 이혼하고, 이 글에서 D로 지칭되는 디오니스 마스콜로의 아들 장을 낳게 된다.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일하던 디오니스 마스콜로와도 몇 년 후 결별하게 되지만, 로베르 앙텔므와 디오니스 마스콜로는 뒤라스의 평생의 친구로 남는다.
뒤라스는 ≪고통≫이라는 한 권의 책에 동일한 제목의 일기뿐 아니라 몇 편의 단편들을 함께 싣고 있다. <이 글에서 라비에라 불리는 X씨>는 남편이 체포된 뒤 한 게슈타포와의 만남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글은 허구라는 단편소설의 형식을 차용하지만 앙텔므를 체포했던 게슈타포인 샤를르 뒤발과의 관계에 관한 이야기로 읽힌다. 레지스탕스 활동과는 모순되게 이 시기 게슈타포나 친독 성향의 작가들과 가까이했던 뒤라스의 전적은 뒤라스 사후 다양한 논란을 제공했는데, 뒤라스는 남편이 강제 포로수용소에 있는 동안 남편을 구하기 위해 뒤발의 정부가 되기도 한다. 1944년 파리가 해방되었을 때 뒤발은 체포되어 사형을 당하게 된다. 이러한 전적으로 뒤라스는 1987년 나치 전범 클라우스 바르비의 재판에 증인으로 채택되지만, 재판의 출석과 증언을 거부했다.
<카피탈 카페의 알베르>와 <친독 민병대원 테르>에서는 나치의 패전 직후 나치 독일에 협력한 프랑스인들을 단죄하는 이야기가 전개된다. 뒤라스가 이 글의 서문에서 밝혔듯이 ‘테레즈’라는 가명으로 뒤라스는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게슈타포에게 쫓기고 감시받고 체포되어서는 고문을 받거나 포로수용소로 보내졌던 레지스탕스들은 이제 나치에 협력했던 친독 민병대원들을 취조하고 고문한다. 해방과 함께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치가 바뀐 것이다. 또한 <카피탈 카페의 알베르>와 <친독 민병대원 테르>에서는 나치 패망 직후 해방을 맞은 당시 프랑스의 분위기를 레지스탕스 대원들의 관점에서 보여 주기도 한다.
<꺾어진 쐐기풀>은 조용한 파리 외곽에서 점심을 먹는 한 노동자와 이방인, 한 아이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단편의 서문에서 뒤라스는 이 글은 허구이며, 계급투쟁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자신이 공산당에 가입한 시기에 집필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말끔하고 고급스러운 차림새의 이방인과 사고로 손가락이 절단된 노동자 뤼시앵의 대화는 쐐기풀을 매개로 이루어지지만, 전쟁과 나치 점령 시대가 끝났음을 암시할 뿐이다. 뒤라스는 서문에서 이방인을 레지스탕스의 감시에서 탈출한 친독 민병대원 테르로 상상할 것을 권유한다.
<파리의 오렐리아>는 전쟁의 포격 속에서 오렐리아를 죽음에서 지키려는 아주머니와 천진난만한 어린 오렐리아의 이야기가 아름답게 묘사된 단편이다. 이 단편은 연극으로 무대에 오르기도 했다. 나치 정권에서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게슈타포에게 끌려가게 된 부부는 아이를 살리기 위해 체포되기 직전 알지 못하는 이웃에게 시장을 보러 가야 하니 아이를 잠깐 맡아 달라며 아이를 맡기고는 체포된다. 얼결에 아이를 맡게 된 아주머니는 유대인 아이인 오렐리아를 사랑으로 키우며 보호한다. 끊임없이 자신의 부모에 대해 물으며 호기심과 천진난만함을 지닌 오렐리아와 오렐리아를 죽음에서 지키는 것이 삶의 의미가 되어 버린 아주머니의 이야기가 서정적으로 전개된다. 3인칭으로 시작된 소설의 마지막은 허구의 이야기를 쓰는 오렐리아 스타이너의 관점으로 변한다. <파리의 오렐리아>는 ≪고통≫에 실린 다른 단편들과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뒤라스 특유의 함축이 특히 잘 드러나는 글이기도 하다.
200자평
≪연인≫으로 공쿠르 상을 수상한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묶은 중단편 소설집이다. 일종의 레지스탕스 문학이기도 하다. <고통>을 비롯해 <이 글에서 라비에라 불리는 X씨>, <카피탈 카페의 알베르>, <친독 민병대원 테르>, <꺾어진 쐐기풀>, <파리의 오렐리아>등 모두 여섯 작품이 실렸다. 이 책을 통해 뒤라스 문학의 또 다른 매력과 더불어 힘을 느낄 수 있다.
지은이
마르그리트 뒤라스는 1914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백인 상류층 집안에서 태어났다. 1932년 프랑스로 건너와 소르본느 대학에서 법학과 정치학을 전공했으며, 1943년 아시아에서의 유년기와 가족애를 소재로 첫 소설 ≪철면피들≫을 발표하며 등단했다. 이후 ≪태평양의 방파제≫, ≪북중국의 여인≫, ≪모데라토 칸타빌레≫, ≪히로시마 내 사랑≫, ≪인디아 송≫ 등, 50여 년에 걸쳐 70편에 달하는 작품을 발표하며 프랑스의 대표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1984년 공쿠르 상을 수상한 ≪연인≫은 프랑스를 비롯한 35개 국어로 번역돼 세계 각국에서 수백만 부가 팔렸고, 장 자크 아노 감독의 영화로도 제작되어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알랭 레네 감독이 연출한 「히로시마 내 사랑」의 시나리오를 쓰면서 영화와 연을 맺게 된 뒤라스는 1966년 「라 뮈지카」를 통해 활동 영역을 영화로까지 확장시킨다. 그녀가 감독한 작품으로는 「인디아」,「나탈리 그랑제」, 「트럭」, 「오렐리아 슈타이너」 등이 있다. 정치활동과 사회운동에도 활발히 참여한 뒤라스는 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수아 미테랑과 함께 레지스탕스 활동을 벌이기도 하였으며, 이후 전쟁 포로들과 강제 수용자들의 정보를 다루는 신문 ≪리브르≫를 발행하는 등 문학 외부에서도 왕성한 활동을 보였다. 1989년 이후 건강 악화로 치료를 받던 뒤라스는 1995년에 마지막 작품≪이게 다예요≫를 발표하고 1996년 세상을 떠났다.
옮긴이
유효숙은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과룰 졸업하고 파리 3대학교에서 연극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우석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교수이다. 옮긴 책으로는 ≪고통≫, ≪로베르토 쥬코≫, ≪서쪽 부두≫, ≪펠레아스와 멜리쟝드≫, ≪주눈≫, ≪사막으로의 귀환≫ 등이 있고 ≪누보로망 연구≫, ≪우리 시대의 프랑스 연극≫, ≪한국연극과 기호학≫ 등의 공저가 있다. 기타 논문으로는 <베케트 극에서의 발화행위와 서술>, <위니의 극중 이야기- 행복한 나날들을 중심으로>, <독백의 극적 효과>,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극 텍스트에 나타나는 voix의 기능>, <감각적 구조의 추구-클로드 시몽의 문학 세계>, <일상극의 연극적 공간>, <독백의 무대화 -사뮤엘 베케트의 연극을 중심으로>, <여성주의 연극의 전략-시몬 벤무사의 알베르 놉의 특이한 삶을 중심으로>, <베르나르-마리 콜테스의 한국적 수용>, <락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을 통하여 본 서울-무대 공간 연구> 등이 있다.
차례
I
고통
II
이 글에서 피에르 라비에라는 가명으로 불리는 X씨
카피탈 카페의 알베르
친독 민병대원 테르
꺾어진 쐐기풀
파리의 오렐리아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죽음과 벌이는 투쟁은 곧 시작되었다. 부드럽게 그리고 세심하고, 민첩하고, 솜씨 좋게 죽음을 다루어야 했다. 죽음은 그를 사방에서 포위했다. 그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통로를 통해 그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이 대단한 것은 아니었지만 어쨌건 방법이 아직 있기는 했다. 살에 박힌 가시만큼이지만, 가시만큼이라도 아직 그의 내부에 생명이 남아 있었다. 죽음은 습격했다. 첫날 39.5도. 그리고 40도. 또 41도. 죽음은 헐떡거렸다. 41도. 심장은 바이올린의 줄처럼 진동했다. 계속 41도, 하지만 심장은 뛰었다. 심장이, 심장이 멈추리라고 우리는 생각했다. 계속 41도. 죽음이 심하게 강타하는 소리를 심장은 들으려 하지 않았다. 불가능하다, 심장이 멈출 것이다. 안 돼.